[김대호의 경제읽기] 코로나19 확진자 급증…경제 불확실성 우려 가중<br /><br /><br />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다시 늘어나며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가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행업계에는 직원들의 줄사표가 이어지고 있고, 항공사는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하고 있다는데요.<br /><br />여행과 항공업계 상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좀 더 자세한 내용 김대호의 경제읽기에서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도 김대호 박사 나오셨습니다.<br /><br />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받았던 여행업계가 한계점에 다다른 모습입니다. 적자 행진이 이어지며 직원도 계속 줄고 있다던데 현재 상황이 어떠한가요?<br /><br /> 정부에서 여행업 지원책에 힘을 실으며 국내 여행 수요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지만 여행사들은 정상영업이 어렵다는 입장입니다.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?<br /><br /> 여행업계에서는 지난 3월부터 시작된 고용유지지원금 연장 여부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습니다. 경영난이 가중된만큼 지원금이 끊기면 무급휴직이나 구조조정을 단행할 수밖에 없다는 건데요. 기간 연장, 필요하다 보시나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국내 양대 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이 깜짝 흑자를 기록했습니다. 전 세계 여객 항공사 중 유일하게 영업이익을 냈다던데 비결이 무엇이었나요?<br /><br />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은 1~2년간 여객 수요가 늘기 힘들다고 보고 여객기를 화물기로 개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데요. 하반기 수익 전망은 어떤가요?<br /><br /> 반면 저비용 항공사인 LCC는 적자폭이 커지며 수익 회복에 난항을 겪고 있는데요. 실적 희비가 엇갈린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LCC들은 하반기에도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경영 환경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해 자구책 마련에 힘을 싣고 있는데요. 침체기에서 빠져나오기 위한 대책을 조언해주신다면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